>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 Page) - 타커의 정보 파이프라인
loading
타커의 정보 파이프라인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N
      • 경제&재테크 도서 리뷰
        • 아들아, 돈 공부 해야 한다
        • 부의 알고리즘
        • 돈의 흐름
      • 경제&재테크 관련 용어
      • 돈 되는 이야기와 정보 N
      • 직장&사회생활 노하우
  • 홈
  • 태그
  • 방명록
돈 되는 이야기와 정보

연말정산 소득공제 많이 받는 법

매년마다 어김없이 다가오는 연말정산 잘 준비하고 있으신가요? 연말정산은 13월의 월급이라 불릴 만큼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시는데요. 그런데 연말정산에 대해 잘 몰라서 세금을 환급받기는 커녕 오히려 세금을 더 내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래서 이런 분들을 위해 이번 시간에는 연말정산에 대비하여 어떻게 하면 소득공제를 많이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득공제란? 소득공제는 연말정산을 할 때 본인의 소득에 대한 세금을 매기기 전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비 등 일정 부분에 대한 금액을 소득에서 빼주는 것으로 납세자의 세금을 줄여 부담을 덜어주는 것입니다. 본인의 연봉(소득)에서 소득공제를 받아 과세표준이 낮아지면 세율도 낮아져 납부해야 할 세금도 적어집니다. 예를 들어, 한 해..

2022. 12. 24.
돈 되는 이야기와 정보

연말정산, 연금저축펀드 IRP 세액공제

2022년이 마무리되고 새로운 2023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면서 드는 생각은 나이를 한 살 더 먹었다는 씁쓸함과 동시에, 또 골치 아픈 연말정산에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연금저축펀드(연금저축계좌), IRP와 관련하여 연말정산 세액공제에 대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연말정산의 뜻 연말정산은 1년 동안 본인이 벌어들인 소득과 소비했던 금액을 계산하여 세금을 정산하는 것입니다. 개인이 1년에 얼마의 소득을 벌어들이고, 얼마를 소비할 것인지에 대해 정확히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국가에서는 각 개인의 월급 일부를 세금으로 우선 가져가게 됩니다. 그러고 나서 연말이 됐을 때, 1년 동안 각 개인이 얼마 정도의 소득이 있었는지, 얼마 정도를 소비했는지에 대해..

2022. 12. 21.
돈 되는 이야기와 정보

2024년 연금저축펀드 장단점 ETF 운영방법

[2024년 최신화 버전] 국민연금이 고갈될 시기가 점점 앞당겨지고 있고, 앞으로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오히려 더 내고 덜 받으며, 더 늦게 국민연금을 수령할 것이라는 소식을 들으셨죠? 이에 개인연금이라고 하는 연금저축계좌에 관심을 갖고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연금저축펀드는 무엇이며, 장점과 단점, 운영방법, 55세 이후 인출순서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연금저축계좌, 개인연금)란? 연금저축펀드는 말 그대로 노후에 사용할 연금을 내 연금저축계좌에 미리 저축하면서 세금 혜택을 받는 상품입니다. 다양한 펀드와 ETF를 통해 연금계좌에서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자유롭게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개인연금이라고도 불리며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2022. 12. 13.
경제&재테크 관련 용어

금리와 환율의 의미 뜻 관계

경제 뉴스나 신문 등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바로 금리와 환율입니다. 뉴스에서 금리 인상, 금리 인하, 환율 상승, 환율 하락과 같은 경제용어들을 많이 들으신 적 있으시죠? 대충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알겠으나 정확한 뜻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경제, 금융, 재테크 쪽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시는 게 좋습니다. 금리 : 이자의 원금에 대한 비율(=돈의 값) 금리는 대내적인 돈의 값이라고 불립니다. 시중에 돈의 공급이 넘치면 돈을 빌려줄 곳은 많은데, 빌리려는 사람은 그보다 적습니다. 그러면 돈을 빌리려는 사람은 금리가 가장 낮은 곳에서 돈을 빌리려고 하겠죠? 수요과 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돈의 공급이 많고 유동성이 활발하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니 금리는 내려갑니다..

2022. 12. 11.
  • «
  • 1
  • ···
  • 7
  • 8
  • 9
  • 10
  • »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타커의 정보 파이프라인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